구조주의

차이

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.

차이 보기로 링크

양쪽 이전 판 이전 판
다음 판
이전 판
구조주의 [2025/05/18 16:33] 김현호(2023380321/Admin)구조주의 [2025/05/20 03:24] (현재) 김현호(2023380321/Admin)
줄 18: 줄 18:
  
 즉, 규범을 잘 모르는 학생은 지적을 통해 '선생님-학생'의 관계라는 구조 안에 편입되며, 그 이후부터는 정형화된 행동을 하게 된다. 다시 말해 '선생님-학생'이라는 사회구조는 눈으로 보이지 않지만, 마치 실체가 있는 것처럼 개인의 행동을 결정짓고 있는 셈이다. 즉, 규범을 잘 모르는 학생은 지적을 통해 '선생님-학생'의 관계라는 구조 안에 편입되며, 그 이후부터는 정형화된 행동을 하게 된다. 다시 말해 '선생님-학생'이라는 사회구조는 눈으로 보이지 않지만, 마치 실체가 있는 것처럼 개인의 행동을 결정짓고 있는 셈이다.
 +
 +====== 비판 ======
 +
 +만약 누군가 이 관계를 설명해달라고 한다면, 우리는 당연히 교실에서의 예의범절과 행동 규범에 대해 이야기할 것이다. 그러나 과거의 '선생님-학생'의 관계는 지금과는 많이 달랐다. 이는 '선생님-학생'의 관계가 계속하여 변화하기 때문이다.
 +
 +가령 1970년대 한국에서는 선생님이 학생에게 체벌을 가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용인되었다. 당시 학생들도 이를 교사의 정당한 [[권위]]로 받아들였다. 반면 오늘날에는 선생님이 학생을 때린다면, 그것은 '선생님-학생'의 정상적인 관계로 볼 수 없으며 불법 행위로 간주된다. 같은 '선생님-학생'이라는 구조적 관계라도 시대에 따라 그 내용과 의미가 완전히 달라진 것이다.
 +
 + 이러한 예시에서 알 수 있듯이, 우리가 어떤 사회 구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시간적 지연이 발생한다. 그리고 그 시간 동안 기존의 구조에는 이미 변화와 균열이 일어나고 있다. 구조는 고정된 실체가 아니라 끊임없이 재구성되는 과정 중에 있는 것이다.
  
 ====== 관련 문서 ====== ====== 관련 문서 ======
  • 구조주의.1747553597.txt.gz
  • 마지막으로 수정됨: 2025/05/18 16:33
  • 저자 김현호(2023380321/Admin)